건축대학 사이버갤러리

Cyber Gallery

2025년 1학기 졸업작품

10.27 MEMORIAL

권한비 전통건축전공 졸업예정 2026, 지도교수 : 한지만 교수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은 다양한 문제를 겪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해소하는 방법을 찾아 다양한 문제를 완화하여 긍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오류를 인식하는 순간에야 과거는 치유된다. 아픔과 실패 속에서 얻은 교훈이 미래의 성장을 위한 밑거름이 되어 새로운 가능성으로 채워 줄 것이다.

현대인에게 사찰은 어떤 의미인가? 사찰은 단순히 예불을 통한 정식적 수양이라는 종교적 장소를 넘어 국민을 위로하고, 학문과 문화, 복지를 담당했던 중심축이었다. 현대 불교 사찰도 이러한 전통을 이어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이라 말한다. 그러나 정적인 공간이라는 불교의 이미지는 현대인이 접근하기 어려움을 느끼게 만든다. 현대 시민들이 불교에 자연스럽게 다가가는 법은 무엇인가? 미디어와 콘텐츠 활용, 불교문화 행사 참여, 사회복지활동 체험 등 다양하다. 불교는 단순한 교리 전달을 넘어서 시민들에게 직간접적인 체험을 통해 문화적, 사회적 혜택을 제공하고 불교의 깊은 철학과 수행의 가치를 경험하도록 도와 개인의 정신 건강, 공동체와 문화 교류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져온다.

1980년 10월 27일, 국가는 많은 승려와 불교계 인사들을 부당하게 연행하여 폭행·고문하는 등 불교계를 대상으로 전례 없는 탄압을 하였다. 10⋅27 법난은 고통의 역사를 바로 잡는 과정이다. 피해를 입은 자와 불교계의 명예를 회복시켜 역사를 바로 잡고 나아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종교 탄압 사건을 알리고 종교적 관용과 인권탄압(인권침해)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며 문화적 성숙을 도모하려 한다.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키워드 :
  • 법난,
  • 봉은사,
  • 조계종,
  • 종교건축,
  • 메모리얼,
  • 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