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대학 사이버갤러리

Cyber Gallery

2025년 1학기 졸업작품

URBAN LOUNGE: SEOUL STATION

서울역 증축을 통한 새로운 서울역의 정면성 제시와 서울역 광장 재조성

프로필 사진

신중빈 건축학전공 졸업 2025, 지도교수 : 이준석 교수

최우수상 수상작

서울역은 도시적 필수요소인 공공건축물과 광장을 포함한 국가수도중앙역으로서 옛 한양도성 내의 숭례문,서울광장 등 여러 국가 상징 시설과 밀접하며 택시, 버스, 승용차 보행 등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방면에서 접근이 용이한 노드의 역할을 한다.

서울역 통합역사는 민자역사 개발논리에 의해 대형 상업시설이 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교통 시스템의 수평적 확장으로 좁아진 보행광장, 그리고 결여된 정면성 등 국가 수도중앙역으로서의 위상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이다. 기존 서울역에서의 공간 경험, 동선 체계는 대형 상업시설을 가로지르거나 외부 계단 광장의 회랑 공간을 거니는 경험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수도중앙역사의 경험으로 있어 상징성이 결여되어있는 상태라고 생각했다. ‘서울역’을 나타낼 수 있는 상징성은 어떤 것일까?

본 프로젝트는 기형적인 형상의 서울역 남동측 선형 대지의 발견에서 시작한다. 이 대지는 사유지로 폭이 좁은 낙후된 근린생활시설들이 나열되어 있어 개발 가능성이 무뎌진 장소로 남아있어 서울역의 상징성과 정면성 확보에 있어 해결해야 할 숙제 같은 곳이다. 해당 대지의 개발 잠재성을 인식하며 ‘서울역’이라는 대상에 부여된 중앙역으로서의 장소성을 고찰하며, 서울역이라는 공간에서 생겨나는 철도 이용객들의 공간 경험을 아우르는 상징적 외장재와 구조물의 제시, 그리고 철도 이용을 목적으로 오지 않은 시민들이 와서 쉬어가며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도심 오픈 스페이스의 필요성을 서울역에 기존 건축물의 극히 일부만 철거하는 증축의 방법을 통해 대입한 프로젝트이다. 택시정류장의 이전으로 확장된 서울역 보행광장과 이용 목적에 상관없이 누구나에게 열려 있는 urban lounge는 기존 서울역의 형태에서 파생된 곡선 루버 커튼에 의해 구분된다. 기존의 소외된 문화역 서울 284과 병치되는 하얀 배경을 제시하며, 철도 이용객들의 내부 공간 이용 행태가 얇은 수직 구조물 사이로 투명하게 보이게 된다. 곡선의 변곡점과 방문자의 위치에 따라 광장과 서울역의 정면성은 외부로 비치는 도심라운지의 모습과 하얀 병풍의 공존으로서 관람자에게 수용된다.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설계성과 이미지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프로젝트 주제 스터디

키워드 :
  • 서울역,
  • 상징성,
  • 서울역광장,
  • 도심라운지,
  • 국가수도중앙역,
  • 증축,
  • 정면성,
  • 루버,
  • 강구조